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원인에 대한 5가지 연구는 미국을 배경으로
버지니아 커먼웰스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VCU)사회학 교수 브루스 런던(Bruce London)과
플로리다 애틀랜틱 (Florida Atlantic University)사회학 부교수 존 팔랜(John Palen)
연구에서 인용하고 기술한 조명래(2016)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재구성 및 설명을 통해 인간 사회의 원인을 알아본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원인 첫 번째
인구 태생적 요인
세계 2차 대전 전쟁이 끝난 후
베이비붐세대들이 결혼하면서,
인구의 자연 증가율과 주택 수요는 급증했습니다.
하지만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주택 매매가격도 급증했습니다.
급격한 주거 수요 요인이
원인으로 등장했는데,
이러한 배경에는 베이비 붐 세대들이
결혼을 통해 2세를 갖는 시기를 늦추고
수입과 학력 그리고 사회적으로 소득이 높은
화이트 칼라(white collar) 직종에서
일을 선호했습니다.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 맞벌이 부부들은
주거지 선택 시에 양육으로 인한
교육 시설이 아닌 직장 거리의 유효성과
도시 안에 편리함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결국 급증한 주택 수요 요인은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현상으로 발생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원인 두 번째
사회 문화적 요인
1970~1980년에는 새로운 중상층들이
도시적 문화를 선호하는 두터운 성향을 선호하였습니다.
이는 도심 안에 거주 하려는 성향으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중상층들은 새로운 도시적 가치보다는
오래된 도시적 가치를 되찾고 싶어 하는
욕망적 본능으로 도시로 돌아오게 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원인 세 번째
정치 경제적 요인
정치경제적으로 미국은
새로운 주택과 고용으로 법의 제정,
시민권의 제도화, 흑인과 백인을 분리하려는
인종차별 운동들이 1950년대부터
근린생활권을 자극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특히 피부색이
지역사회를 이끌어가는 집단들로
사회적 편견이 줄어들면서
많은 흑인들은 백인 거주지로 이주했습니다.
그 결과 지역의 토지가격과 주택 매매가격이 오르면서,
새로운 중산층들은 도심으로 이동했습니다.
기득권들은 도심 지역을
의도적인 정치적 영향을 행세하면서,
정책 변경을 통해 막대한 수입을 만들 수 있게
토지가격과 주택 매매가격을 내려서
큰 이익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지역사회 요인
지역사회는 인간관계에 의한 사회적인 구조로
지리적 행정적 분할로 이루어진 사회입니다.
지역사회를 강조하는 요인으로는
두 가지 입장이 있습니다.
첫 째는 지역사회가 통신 기술 발달과 교통이
인간관계 역할에서 약화를 우려하는 입장이면서,
두 번째는 지역의 근린 생활권이 확대되면
사회조직이나 정치조직으로 교체하는 입장입니다.
교체되는 입장은 근린 생활권이 재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가 확장되고 재활성 되는 것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원인 다섯 번째
사회 운동 요인
도시 안에
사회문제를 둘러싸고
이해관계 집단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운동은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해관계 집단에서 정부기관, 금융등
사회적으로 주도하는 세력들은
젠트리피케이션을 지지하면서,
사회적인 영향력을 크게 발휘했습니다.
반대로 젠트리피케이션을 지지하지 않는
세력들은 낙후된 지역의 거주지를 지키기 위해
사회적으로 영향을 발휘하는 세력들에게
사회운동으로 반대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 원인 5가지
인구 태생적 요인 사회 문화적 요인 정치 경제적요인
지역 사회 요인 사회 운동 요인
쿠팡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여러가지 유형 (0) | 2020.04.29 |
---|---|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탄생 배경 (1) | 2020.04.27 |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현상..미래에 대한 걱정 (0) | 2020.04.25 |
댓글 영역